1. 믹스패널은 사용자 행동기반의 제품 데이터 분석 툴(Product Data Analystics Tool)이다. 프론트 단에서 주요 관리하고자하는 이벤트들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특정 행동시 믹스패널 쪽으로 이벤트를 보낼 수 있다.
2. 믹스패널의 장점은 유저 트래킹이 잘되어있다는 것이다. 로그인을 하지 않은 유저가 사이트에 방문하여 이것저것 페이지를 둘러보다가 이후에 로그인을 하면 믹스패널에서는 로그인 전의 행동까지 로그인 이후의 유저가 한 액션이라고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저 페이지에서 특정 유저가 특정 시점에 어떤 액션을 취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믹스패널은 자체적으로 약 10% 내외의 오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서버의 데이터를 가공한 그라파나나 자체 어드민 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믹스패널은 보다 거시적인 측면에서 전반적인 유저의 액션이나 흐름등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예를들어 특정 항목 구매<- 까지 이루어지는 유저의 액션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이벤트로 등록하고, 각 단계별로 어떤 리텐션을 보이는 지 확인한 후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예컨데 상품 목록 페이지 진입 > 상품 디테일 페이지 진입 > 구매 버튼 클릭 > 결제 동의 > 결제하기 버튼 클릭 > 결제 성공 모달창 오픈 의 단계를 각각 이벤트로 등록을 해 두고 결제 동의 버튼을 눌렀음에도 결제하기 버튼 클릭의 전환율이 낮은 경우 무엇이 문제인지 생각해볼 수 있다. 이 부분에서 기술적인 에러가 자주 일어나고 있을수도 있고, UX UI 설계에 문제가 있었을 수도 있다.
4.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현재 일하고 있는 회사의 국내 서비스와 해외 서비스에 믹스패널 이벤트 로깅 코드를 심는 일을 진행하였다. 국내 서비스의 경우 어느정도 규모가 커져있는 상황에서 추후에 로그를 심었고, 해외 서비스의 경우 런칭 이후 한달도 채 되지 않아 로그를 심었다.
5. 두 코드의 다른 점은 이벤트에 담아 보내는 프로퍼티들의 디테일 말고는 국내는 일반적인 함수형으로 작성을 한 것이고 해외의 경우 class와 customHook을 사용했다는 차이 뿐이었다.
6. 그런데 해외 서비스의 어드민 상의 데이터와 믹스패널 상의 데이터가 심하게 불일치하고 있었다. 국내 서비스의 경우 어느정도의 불일치가 있었지만 10% 내외에서 용납가능한 수준의 오차였지만 해외 서비스의 경우 믹스패널 이벤트 데이터의 개수가 어드민의 절반정도밖에 되지 않은 경우도 심심찮게 보였다.
7. 처음에는 class나 customHook등을 잘못 사용하여, 데이터가 제대로 날아가지 않았는지 코드 쪽을 보았지만, 아무리 여러번 확인을 해봐도 특별히 이상한 점을 발견할 수는 없었다.
8. 믹스패널상의 데이터와 어드민과의 데이터간을 비교해보면서 한가지 발견한 점은, 믹스패널 코드를 심은 이후 단 한번의 이벤트도 로깅이 되지 않은 유저들이 있다는 것이었다.
9. 이는 매우 의아했던 점으로, 현재 이벤트 코드로는 모든 페이지 방문, 로그인, 회원 가입, identify, 캐시 구매 , 상품 구매 , 상품 카테고리 클릭 등 매우 다양하게 있기 때문에, 특정 이벤트가 한번 누락이 될 수는 있지만, 어드민상에 존재하는 유저가 믹스패널 코드를 심은 이후 몇개월 간 단 한번의 로깅도 남기지 않았다는 부분은 매우 의아하였다.
10. 여기서 특정 유저들은 단 한번의 페이지 뷰도 찍히지 않았다는 것은 자체적으로 믹스패널이 발동할 수 없는 조건 속에서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라는 추측을 하게 되었다.
11. 결론적으로 chrome > settings > Privacy and Security > third-party-cookies 에서 send a "Do Not Track" request with your browsing traffic 을 활성화 시켜놓으면에서 사이트 접속시 믹스패널 상에서 어떠한 로그도 찍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12. 어드민의 데이터와 믹스패널간의 불일치를 가져왔던 유저들은 대부분 믹스패널 상에서 단 한번의 로그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상황이거나 비슷한 상황(애드블록과 같은 특정 확장 프로그램등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을 것 같음)에서 해당 사이트를 사용하고 있을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13. 해외 사이트의 경우 아직 이용자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몇명의 액티브하게 활동하는 유저가 위와 같은 황경에서 활동을 하고 있었을 것이고 따라서 어드민과 믹스패널간의 데이터의 불일치가 심했던 것이다. 실제로 믹스패널상의 어떠한 로그도 남기지 않은 유저들 중에서 헤비한 이용을 하고 있던 몇몇 유저가 있었다. 전체 파이가 적다보니 이들의 활동이 전체에 희석되지 않고 심한 데이터 불일치로 보였던 것이다.
14. 최근 웹사이트등을 방문시 맨 처음에 쿠키 관련 허용 설정 모달이 자주 뜨는 곳이 많다고 느꼈는데, 혹시 위와 같은 설정을 해제하기 위함이 아닐까라고 추측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