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는 리스트가 배열의 특성을 내포함 => 크게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음
1. 배열
(1) 정의: 메모리의 연속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
(2) 특성
-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에 바로 접근 가능함
-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의 삭제가 어려움 => 해당 인텍스 주변에 있는 값들의 이동이 필요함
-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함 =>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음
- 구조가 간단해 코딩테스트에서 많이 사용
2. 리스트
(1) 정의: 값과 포인터를 묶은 노드라는 것을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
(2) 특성
- 인덱스가 없으므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해야함 => 접근하는 속도가 느림
-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삭제와 삽입하는 연산속도가 빠름
- 선언할 때 크기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됨 => 크기가 변하기 쉬운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
- 포인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 => 배열보다 구조가 복잡함
3. 백준허브 깃허브 연동
백준허브란 백준 문제를 해결하면 등록한 github repository에 자동으로 코드와 문제 요약을 푸시해주는 익스텐션
백준허브(BaekjoonHub)
Automatically integrate your BOJ submissions to GitHub
chrome.google.com

이제부터 알고리즘 쭉쭉 간드아~
4.input(), input().split(), int()
그동안 자바스크립트로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문제는 여러번 풀어보았지만, 백준 문제를 파이썬으로 풀어보는 것은 처음이라 입력값들을 받아오는 방법에 대해서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n = input()같은 경우는 잘 이해가 갔는데,
mylist = list(map(int, input().split())) <= 당최 이 코드에서 map이 왜 들어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이 들었고,
아래의 블로그 글을 보고 이해할 수 있었다.
막연히 mylist = list(int(input().split())) <= 하면 될 줄 알았건만, 파이썬의 문법에 맞게 int로 변환시키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https://ccamppak.tistory.com/38
[파이썬 / Python] map(int, input().split())에 대해
제목의 식은 백준의 다른 문제를 풀이할 때 계속해서 사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좀 더 구체적으로 map(int, input().split()) 을 구성하는 함수들이 무엇이며 어떻게 변형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고자
ccamppak.tistory.com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코딩테스트](2)자료구조-2: 구간 합(2) (0) | 2023.02.16 |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2)자료구조-2: 구간 합 (0) | 2023.02.09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1):코딩 테스트 준비하기 (0) | 2023.02.05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스터디 [문37-40] (0) | 2022.03.24 |
프로그래머스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스터디[문33~문36] (0) | 2022.03.16 |